CCTV, 액션캠, 드론, 3D카메라, 라이다센서 등 IT 기술 접목
현장 모니터링, 안전관리, 기록관리 자동화, 건설 현장 안전과 품질향상

[애플경제 김향자 기자]부실 공사로 인한 각종 하자나 사고를 막기 위해 건설 감리 기능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엔 이 분야에도 적극적으로 IT기술이 접목되고 있어 주목된다. 즉 스마트 건설 감리를 통해 기존 감리 기능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기술의 차별성을 기한다는 점에서 일선 건축사들을 중심으로 점차 실용화될 전망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따르면 지금까지 개발된 스마트 감리 기술은 대체로 AI를 그 중심에 두고 있다. 최근 실용화를 앞두고 있는 스마트건설 기술은 IOT센서, CCTV, 액션캠, 드론, 3D카메라, 라이다센서 등을 활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현장 모니터링, 안전관리, 기록관리 등의 기능을 자동화함으로써 건설 현장의 안전이나 품질을 향상시키는 관리시스템”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 중 CCTV를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안전관리는 현장 진행사항과 건설사고 등의 사전 예방, 매일의 촬영 영상을 기록하는 방식이다. 또 라이다 센서와 AI 학습을 통해 안전모를 제대로 착용하는지, 화재가 일어나지는 않는지 등을 점검한다. 드론이나, 3D카메라를 통해 품질과 내역을 관리하고, 사각지대를 검측하며, 토공량을 분석한다. 그 결과 이는 준공도면, 작업보고, 감리일지, 공정 체크리스트 현황 등 유지관리 시스템과 연계된다.

이는 기존 기술과도 뚜렷한 차별화를 기한다. 최근 기술요약서를 발간한 라움건축사사무소의 방재웅 대표는 기존 기술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지적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우선 기존 감리기술은 지속적인 건설 안전 사고의 증가를 막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즉, “건축물의 노후화로 인한 재건축, 리모델링 등 건설 현장 증가로 인한 중대재해 처벌법 제정에도 불구하고, 건설 현장 사고는 크게 증가하고 있다”면서 “특히 건축물 신축에 따른 건설공사비 외 관리 비용 증가하고 있는 것도 문제”라고 있다.

이로 인해 품질이나 안전관리를 제대로 하기 위한 상주 감리자를 추가 고용할 경우 상주 인원 증가로 인해 감리비용도 최소 3배 이상 증가하고, 발주처 비용 부담도 가중된다는 지적이다. 특히 법정 인원 1인 상주 감리 제도의 한계도 지적했다. “법정 감리인원 1인이 1,000세대의 골조공사와 마감공사의 체계적인 검수나 관리를 한다는 것은 물리적으로 어렵다”는 얘기다.

또 발주처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없다 보니, 감리자 지정권한은 가지고 있지만, 감리 업무가 제대로 이루어지는지를 지속적으로 확인, 관리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특히 작년 사고가 일어났던 광주 아이파크 아파트의 감리일지를 조작한데서 보듯, 데이터의 순수성이나, 시공사의 임의 가공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그래서 스마트 감리 기술을 통해 현장 CCTV 실시간 모니터링을 비롯해 ▲AI를 통한 현장관리, ▲드론, 3D카메라를 통한 품질과 안전, 공정관리, ▲ 온라인 웹사이트와 모바일 등을 통해 관리의 효율성을 기하고 있다.

그 결과 무엇보다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다. 상주감리를 할 경우 공사내용을 기록, 관리하고 시공사, 감리자, 발주처간 협의 및 보고자료를 정리할 수 있다. 또 BIM 설계도면을 바탕으로 물량확인과 정산 검토, 간섭구간 검토를 통해 공정의 지연을 최소화한다. 현장에서 생성된 촬영데이터나, 작업데이터, 장비/인원투입 현황 등을 문서로 자동화할 수 있고, 일일보고, 주간보고, 감리일보, 공정 체크리스트 현황 등을 작성함으로써 공사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스마트 감리기술은 비상주 감리의 경우도 매일 현장 감독이 가능한 상주감리의 효과를 기할 수 있다”면서 “취약지역 검측이 가능하고, 내부 마감공사 전 골조나 설비공사를 점검, 보완하는 등 품질관리를 할 수 있으며, 실시간 모니터링 CCTV를 통한 화재감지와 작업자 안전장비 착용 상황도 점검할 수 있다”고 장점을 강조했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